세자트라숲 이야기

통영시 기후적응을 위한 시작점: 기후적응 리빙랩, 주민과 함께하다.

  • 2025-10-10
  • Hit : 23

 

기후적응 리빙랩, 주민과 함께하다 

통영시 기후적응을 위한 시작점

 Writer_김세희 PD     Posted_October 10, 2025

 

3cc5287e492dc94116d176b787dd5649_1589605541_4331.jpg

 

  기후변화가 가속화되면서 해양 생태계와 연안 지역사회는 전례 없는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여름철 폭염의 심화, 이상기온으로 인한 수온 변동, 그리고 빈번해진 해양 재해는 지역 주민들의 건강과 생계 등 주민 생활 전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또한, 어업 기반인 가두리양식 산업과 낚시배 운영은 수온 변화와 폭우, 태풍 등 돌발 기상 현상으로 여러움을 겪고 있으며, 새로운 적응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습니다. 



8cb750b1116cf228745ebcf8f236f55e_1590625458_7774.jpg기후위기에 대응하는 현장 중심의 실험, 리빙랩

 

  이러한 복합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통영RCE세자트라숲에서는 연세대학교 기후적응 리빙랩 사업단성정희 교수, 최지은 박사와 함께 '기후적응 리빙랩'을 운영하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맞춤형 해법을 찾기 위한 여정을 시작했습니다. 


  리빙랩(Living Lab)실제 현장의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문제인식을 함께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솔루션을 공동으로 설계하며, 이를 실험·시행하여 지속가능한 해법을 찾아가는 문제해결 방법입니다.


  2025년도 기후적응 리빙랩에는 2024년에 진행 된 '기후적응 리빙랩 선도자 교육과정'을 이수한 통영 지역주민 11명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57d0162ce906da4cc4ef73eb01f8e848_1760073082_346.jpg  57d0162ce906da4cc4ef73eb01f8e848_1760073086_3218.jpg


57d0162ce906da4cc4ef73eb01f8e848_1760073102_5976.jpg  57d0162ce906da4cc4ef73eb01f8e848_1760073104_867.jpg


 

8cb750b1116cf228745ebcf8f236f55e_1590625458_7774.jpg주민이 제안한 기후적응의 세 가지 현장 과제

 



 폭염과 건강관리 / 기후적응과 낚시배 안전 / 기후변화와 가두리 양식


  리빙랩 운영 참여자들은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통영의 주요 기후 적응 과제 세 가지를 도출했습니다. 


1. 폭염과 건강관리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이 점점 더 빈번하고 장기화되는 양상을 보이면서, 주민들의 건강과 생활환경에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고령층과 취약계층은 폭염 피해에 더욱 취약하다는 문제를 인식하고 있지만,  예방·대응 교육의 부족, 정보 접근성의 한계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낚시배 안전
  기온 상승, 집중 호우, 돌발 기상이변 등 기후변화는 낚시배 운영 환경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낚시 선주와 이용자 모두가 기후변화 대응형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적인 낚시배 안전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 가두리 양식
  가두리 양식 현장은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과 저수온 피해, 빈 영양화 등으로 직접적인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주요 양식 어종의 폐사가 매년 반복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대응 체계는 여전히 미흡헌 실정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7d0162ce906da4cc4ef73eb01f8e848_1760073161_264.jpg  57d0162ce906da4cc4ef73eb01f8e848_1760073308_5995.jpg 


 

8cb750b1116cf228745ebcf8f236f55e_1590625458_7774.jpg함께 찾는 해법, 주민이 만든 기후적응의 길

 

  폭염, 낚시배 안전, 가두리 양식이라는 서로 다른 현장 이슈는 결국 '기후적응'이라는 공통의 목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주민분들과 함께 리빙랩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참여주민들은 폭염 대응을 위한 생활 속 건강관리 메뉴얼 개발, 낚시배 안전교육 프로그램 모델 시험 운영, 양식장 수온 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지역 네트워크 구축 등 현장에서 직접 실행 가능한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있습니다. 


57d0162ce906da4cc4ef73eb01f8e848_1760073186_6151.jpg  57d0162ce906da4cc4ef73eb01f8e848_1760073324_7387.jpg 


 

8cb750b1116cf228745ebcf8f236f55e_1590625458_7774.jpg기후적응, 지역이 만드는 지속가능한 변화 

 

    기후위기는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의 삶을 바꾸는 현실입니다. 통영RCE세자트라숲과 연세대학교 기후적응 리빙랩 사업단은 앞으로도 현장의 경험을 정책과 실험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이어가며, 지역의 특성과 필요에 맞는 지속가능한 기후적응 모델을 만들어 갈 것입니다. 


"기후적응은 거창한 일이 아니라, 우리가 사는 현장에서부터 시작됩니다. 

통영의 변화가 우리 모두의 미래를 위한 첫걸음이 되길 바랍니다." 

- 리빙랩 참여 주민 인터뷰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