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자트라숲 이야기

통영에서 만난 작은 과학관

  • 2025-08-26
  • Hit : 20

 

웃음과 배움이 가득했던 숲, 과학이 이렇게 즐거울 수 있을까요? 

통영에서 만난 작은 과학관

 Writer_김세희 PD     Posted_Aug 26 2025

 

3cc5287e492dc94116d176b787dd5649_1589605541_4331.jpg

 

   여름 햇살이 뜨겁게 내리 쬐던 8월의 숲에서는 과학이 놀이가 되는 시간이 마련되었습니다. 통영RCE세자트라숲으로 국립부산과학관의 「2025 찾아가는 작은 과학관」이 찾아 왔습니다. 멀리 과학관까지 가지 않아도 통영에서 다양한 과학 전시와 체험을 경험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었습니다. 아이들은 놀이처럼 과학을 접하며 새로운 발견과 성취를 찾았고, 함께한 모두는 그 순간을 지켜보며 즐거움을 나누었습니다. 



  과학이 이렇게 재미있고, 친근할 수 있다는 걸 오늘 처음 알았어요.

방학의 끝자락에 아이와 함께 배울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좋았어요.

무엇보다 가족 모두가 웃을 수 있는 시간들이 정말 행복했습니다.

 - 가족 참가자  김O지 님 


  8월 22일부터 24일까지, 3일간 약 1,050명의 시민이 모인 세자트라숲은, 아이들의 호기심과 기분 좋은 감탄이 섞인 웃음으로 가득했습니다. 숲속의 자유롭고 활기찬 분위기 속에서 과학은 놀이처럼 자연스럽게 스며들었고, 반짝이는 눈으로 발견한 즐거움들이 쌓여 숲을 더 기운차게 만들어주었습니다.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1023_1901.jpg
 


8cb750b1116cf228745ebcf8f236f55e_1590625458_7774.jpg전시&체험: 호기심을 깨우는 순간


✿ CodeCraft 전시품: 코딩을 놀이처럼 배운다고요?✿ 


 언플러그드 코딩   블록 코딩   피지컬 코딩   AI 코딩   생성형 AI 코딩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0181_7645.jpg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0186_1297.jpg


  아이들은 블록을 쌓고 로봇을 움직이며 코딩의 원리를 재미있게 배웠습니다. '언플러그드 코딩'으로 논리적 사고를 익히고, '블록 코딩' '피지컬 코딩'을 통해 손으로 직접 문제를 해결하는 재미를 느꼈습니다. 'AI 코딩''생성형 AI 코딩' 체험에서는, 아이들이 직접 명령을 내리고 반응을 확인하며 과학과 기술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배우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코딩은 왠지 어려울 것 같아서 '레벨1'만 하고 있었는데,

선생님들의 설명을 따라 차근차근 했더니 '레벨3'도 성공할 수 있었어요. 

문제를 해결하는 게 정말 재미있었어요! 내일 또 하러 올 거에요! 

- 초등학생 참가자  박O랑 님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1175_3655.jpg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1177_1953.jpg 



✿ 수소 에너지 전시품: 미래를 만나는 시간  


수소와 숨바꼭질   수소와 나들이  ✔ 수소의 꿈   블루 수소의 생산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1052_7381.jpg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1054_5317.jpg 


  참가자들은 수소 에너지 전시품들을 통해 친환경 에너지의 원리를 배우며, 미래 과학 기술을 상상했습니다. 수소의 특성과 성질을 놀이로 체험하고, 수소 에너지가 우리 생활 속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도 배웠습니다. '블루 수소의 생산' 체험에서는 실제 수소 생산 과정과 친환경 기술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며, 과학적 원리와 환경적 의미를 이해했습니다. 



✿ 참여형 체험 프로그램: 반짝이는 웃음과 작은 손을 통한 발견 ✿ 


 대시 로봇 코딩 체험   마블런 챌린지   스트링 아트   로봇 가면 만들기  야광뱃지 만들기

 ✔ 슈링클스 만들기   인터렉티브 체험   플라잉컵   종이 비행기 날리기  ✔ 팽이·구름 의자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1859_9518.jpg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1870_2383.jpg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2086_7066.jpg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1902_9628.jpg 


  가족 단위 참가자가 유독 많았던 이번 과학관 행사에서는, 아이들과 함께 온 부모님들이 도와가며 다양한 체험을 즐기는 모습이 눈에 띄었습니다. 참가자들은 단순히 전시물을 관람하는데 그치지 않고, 직접 만지고, 조작하며 과학 원리를 탐구했습니다. 손과 눈, 귀, 마음까지 모두 사용하는 살아 있는 과학 경험이었고, 참가자들은 즐거움과 배움이 함께 어우러진 특별한 시간을 만끽했습니다.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1634_0944.jpg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1635_3417.jpg
 

  '대시 로봇 코딩' 체험에서는 로봇을 움직이는 손짓에 집중하며, 움직임을 계획하고 테스트했습니다. '마블런 챌린지'에서는 공이 굴러가는 길을 직접 설계하며, 시행착오를 거쳐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몸으로 체험했습니다. '스트링 아트''로봇 가면 만들기' 체험에서는 손끝에서 피어나는 창작의 즐거움이, 가족들의 웃음과 함께 체험장을 가득 메웠습니다.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1325_6847.jpg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1327_0594.jpg 


  '야광 뱃지 만들기' '슈링클스 만들기'에서는 자신만의 작품을 완성하며 과학적 원리를 체험했고, '종이 비행기 날리기''플라잉컵 활동'에서는 눈앞의 반응을 확인하며 호기심이 살아 움직이는 순간을 느꼈습니다. 야외에 마련된 '팽이·구름 의자 쉼터'에서는 불어보는 바람을 느끼며 공기와 균형, 힘의 흐름을 배우며, 휴식와 배움이 동시에 이어졌습니다. 



 아이와 함께 다양한 체험을 하며 하루가 순식간에 지나갔어요.

과학을 놀이처럼 배우고, 숲속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느끼며, 

지금 우리가 작은 생명들이 함께 어우러져 있다는 게 느껴졌어요.

천장에 제비가 날아다녔거든요! 아이에게 단순한 체험을 넘어

자연과 과학이 연결된 특별한 시간을 경험하게 해줄 수 있어서 뿌듯했어요.

저도 정말 재미있었고요. 

- 가족 참가자 유O영 님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1559_8327.jpg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1561_285.jpg




8cb750b1116cf228745ebcf8f236f55e_1590625458_7774.jpg과학 공연 <엉뚱박사의 비밀 실험실> 

 

  세자트라센터의 로비 '변화하다'에서 펼쳐진 과학 공연 <엉뚱박사의 비밀실험실>은 단순한 마술쇼가 아니라, 과학이 얼마나 신기하고 즐거운 것인지 온몸으로 느끼게 해주는 시간이었습니다. 아이들은 무대 위에서 펼쳐지는 마법같은 순간마다 눈을 반짝였고, 가족들은 함께 놀라움과 감탄을 나누며 공연에 공연에 몰입했습니다. 


  화려한 실험이 이어지는 엉뚱박사의 비밀 실험에 "우와!"하는 감탄들이 터져 나왔습니다. 마치 마술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 담긴 과학적 원리를 쉽게 풀어내어, 아이들에게는 호기심을, 부모들에게는 새로운 깨달음을 안겨주었습니다.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1989_1144.jpg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1990_7366.jpg 


  커다란 비눗방울이 무대를 가득 채우자, 아이들은 두 팔을 뻗어 방울을 토옥-톡!톡! 터뜨렸습니다. 무지갯빛으로 빛나는 방울들이 반짝이며 흩어지는 순간, 과학은 동화처럼 퍼져나갔습니다. 


   관객들은 어느새 공연의 한 부분이 되어, 직접 참여해 관객들의 반응을 이끌어 내기도 하고, 엉뚱박사의 실험을 돕기도 했습니다. 무대와 객석의 경계가 허물어졌고,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과학 축제의 장이 되었습니다.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2012_0483.jpg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2013_549.jpg 


  과학 공연이 끝날 때 쯤, 아이들의 얼굴에는 여전히 신기함과 웃음이 남아 있었고, 기쁨과 감탄의 여운은 숲 곳곳에서 이어져 활기를 띠었습니다. 공연은 과학을 눈으로 보고 마음으로 배우는 경험이자, 가족 모두가 함께 즐기는 특별한 순간이 었습니다. 


  공연의 마지막 장면, 엉뚱박사가 관객들에게 물어봅니다. "여러분, 오늘 무엇을 배웠다구요?"


"대.류.현.상!  베.르.누.이.의.법.칙! 표.면.장.력!"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3151_5809.jpg  41917205dc9bb2a504dd66493fb97df3_1756193153_3477.jpg
 


8cb750b1116cf228745ebcf8f236f55e_1590625458_7774.jpg호기심이 키워 낸 배움의 씨앗, 미래로 뻗는 배움의 가치


  통영RCE세자트라숲에서 진행된 국립부산과학관의 '2025 찾아가는 작은 과학관'은 단순한 체험을 넘어, 아이들의 호기심을 실질적인 배움으로 연결하는 자리였습니다. 아이들의 호기심과 함께하는 모두의 웃음이 어우러진 시간 속에서, 배움은 자연스럽게 스며들었습니다. 작은 손으로 무언가를 만들고, 직접 경험하며 느낀 즐거움은 단순한 체험을 넘어, 지식과 이해로 이어지는 배움의 씨앗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무더웠던 여름, 숲에서 만난 작은 과학관은 실험실도, 교과서도 아닌, 자연 속에서 몸으로 느낀 배움이었습니다. 오늘 아이들의 눈빛 속에서 반짝이던 호기심은 언젠가 더 큰 배움으로 이어질 씨앗이 될 거예요! 


국립부산과학관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sciport.or.kr/kor/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