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자트라숲 이야기

숲 속의 별 이야기

  • 2025-07-12
  • Hit : 24

 

세자트라숲 속의 밤을 반짝반짝 

반딧불이 이야기

 Writer_박장진 선임 PD     Posted_July 11, 2025

 

3cc5287e492dc94116d176b787dd5649_1589605541_4331.jpg

 

살면서 반딧불이를 본 사람은 얼마나 있을까요? 저 또한 사진으로만 보아왔는데요. 여러분은 사진이나 영상이 아닌 직접 본 적이 있나요? 이 더운 여름날에 왜 갑자기 반딧불이 이야기를 하냐고요? 세자트라숲에 반딧불이가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세자트라숲은 중장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친환경 지표이며 쉽게 볼 수 없는 반딧불이 복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작년부터 계획을 수립했고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는데요. 사진으로만 보여드릴 수 있어서 조금 아쉽지만 그래도 생생하게 순서대로 전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8cb750b1116cf228745ebcf8f236f55e_1590625458_7774.jpg반딧불이 너는 누구니?

 

국내 서식하는 혹은 복원해서 관리 중인 반딧불이는 총 3종류입니다. 가장 흔한 애반딧불이, ​3종류 중 가장 큰 늦반딧불이, ​마지막으로 가장 희귀한 운문산 반딧불이 ​입니다. 

초여름에서 가을까지 우리나라 곳곳에는 반딧불이 축제가 열리는데요.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무주 반딧불이 축제가 대표적입니다. 이미 반딧불이 서식지가 곳곳에 있는 무주에서 좀 더 널리 알리기 위해 반딧불이 복원 사업을 진행해왔고 지금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반딧불이 축제가 열리는 곳이죠. 그만큼 반딧불이 복원 사업에 선구자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우리 세자트라숲 뿐만 아니라 곳곳에서 찾아와 도움을 요청하기도 한답니다.

저 위에 세 친구 중에 애반딧불이 만이 인공 사육이 가능하여 복원 사업이 가능합니다. 

자 어느 정도 정리가 되었나요? 이제 시간 순서대로 이야기를 풀어보겠습니다!


2aa54b20bf9e74183ef4715e162a521e_1752280549_1396.png
 

8cb750b1116cf228745ebcf8f236f55e_1590625458_7774.jpg너를 만나기 위해

 

● 2024년 

반딧불이에 대해서 정보가 없었기 때문에 무주 농업기술센터의 도음을 받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무주를 방문하고 그쪽 담당자로부터 받은 조언과 정보들을 바탕으로 복원지를 선정했습니다.

여러분, 여기가 어디일까요?


2aa54b20bf9e74183ef4715e162a521e_1752280835_4994.jpg
 

아롱이다롱이 1단 연못입니다. 복원할 친구인 애반딧불이는 다른 두 친구와 달리 수생형 곤충입니다. 성충이 되기 전까지 물속에서 생활을 하는 친구인데요. 다행히 1단 연못에는 훌륭한 수생 환경이 조성되어 있고 애반딧불이가 알을 놓기 위한 이끼와 성충이 되기 위해 필요한 뻘(부드러운 흙)이 충분하기 때문에 아롱이다롱이 1단 연못이 최적의 장소라고 판단했습니다.


● 2025년 5월

이제 반딧불이를 데리고 올 시간인데요. 유충들이 어느 정도 자라고 성충이 되기 위한 굴을 팔 시점에 세자트라숲으로 데리고 왔습니다. 그리고 바로 1단 연못에 방사했습니다.


2aa54b20bf9e74183ef4715e162a521e_1752281251_4473.png2aa54b20bf9e74183ef4715e162a521e_1752281597_4571.png
 

약 800마리 정도 데리고 왔고, 이 중 90% 정도는 연못으로 방사했고 나머지는 관찰과 추후 원활한 사업 진행을 위한 학습용으로 센터 내에서 인공 사육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2aa54b20bf9e74183ef4715e162a521e_1752284807_8288.jpg
 

부드러운 흙을 조성을 해줘야 하기 때문에 세자트라숲 다랭이논 흙으로 집을 만들어줬습니다. 저렇게 바둑판처럼 줄이 그어져 있는 이유는 저 틈에 유충들이 들어가서 집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그곳에서 번데기로 변하고 그다음에 성충으로 변한답니다.


● 2025년 6월11일

이제 드디어 우리가 아는 반딧불이로 변신해서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하나 둘씩 나타나더니 수십 마리씩 나오는 날도 있었답니다. 성충으로 나온 아이들은 실험용 디시에 넣어 주었고 이끼 역할을 하는 초록색 부직포를 깔아주고 물이 마르지 않도록 수분을 유지해 주었습니다.


2aa54b20bf9e74183ef4715e162a521e_1752285266_6608.jpg2aa54b20bf9e74183ef4715e162a521e_1752285267_6625.jpg
 

● 2025년 6월18일 

센터에서 인공적으로 성충이 되었으니 연못에 방사한 친구들은 어찌 되었을까요? 유충을 방사하고 약 한 달 뒤에 첫 반딧불이 탐사를 진행했습니다. 불빛을 싫어하는 반딧불이를 위해 유충을 방사하자마자 복원지 주변 가로등은 전부 소등했습니다. 해가 완전히 진 후 20시40분 경 탐사를 진행했으나 발견하지 못했고 시간이 지난 21시20분 경 다시 탐사를 진행했더니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난생처음 보는 반딧불이가 너무나도 신기했고 감동의 물결이 일었습니다. 어두운 밤이고 반딧불이도 개체 수가 많지 않아 사진이나 영상으로 담기가 힘들었던 점이 조금 아쉬웠습니다. 1차 탐사때는 날아다니는 개체는 없었고 전부 바닥에서 발광을 했고 약 15마리 정도 발견했습니다.


2aa54b20bf9e74183ef4715e162a521e_1752285578_25.jpg
 

● 2025년 6월28일 

센터 내에서 사육했던 디시에서 반딧불이 알들이 다수 발견되었습니다. 정확한 개수는 확인이 안되었지만 실험용 디시 9개에 전부 알들이 발견되었고, 약 1,000개 정도로 추정됩니다. 이 알들은 점차 검게 변했고 약 20일 후에 부화했습니다. 작은 애벌레들이 보이시나요?


2aa54b20bf9e74183ef4715e162a521e_1752285764_9742.jpg2aa54b20bf9e74183ef4715e162a521e_1752285783_2926.jpg
 

● 2025년 6월30일 

2차 반딧불이 탐사를 진행했습니다. 이날은 1차와 다르게 날아다니는 개체들이 확인되었습니다. 날아다니는 개체(수컷)는 지속적으로 발광을 했고 바닥에서 발광하는 개체(암컷)에 내려앉아 짝짓기 후 다시 날아가는 행동을 반복했습니다.


● 2025년 7월1일 

부화한 총 9개 디시 중 8개는 1단 연못에 방사했습니다. 나머지 1개 디시는 관찰을 위해 어항에서 사육을 시작했습니다. 아직 어린 개체들이기 때문에 스스로 사냥이 불가하여 다슬기와 물달팽이 속살을 먹이로 주었고 활발한 먹이 활동을 관찰했습니다. 


2aa54b20bf9e74183ef4715e162a521e_1752286039_2082.jpg2aa54b20bf9e74183ef4715e162a521e_1752286043_1014.jpg
 

8cb750b1116cf228745ebcf8f236f55e_1590625458_7774.jpg향후 일정은?

5월에 첫 방사 후 약 2달 동안 정신없이 복원 사업을 진행해왔습니다. 

아는 것이 많이 부족한  상태에서 시작했기 때문에 인터넷 검색과 무주 반딧불이 담당자를 많이 귀찮게 했는데요. 다행히도 너무나도 좋은 환경인 세자트라숲과 반딧불이들이 힘을 내준 덕분에 많이 배웠고 가치 있는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내년에도 올해 발견되었던 개체 수 이상으로 발견된다면 어느 정도 세자트라숲에 정착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이후에는 반딧불이 탐사와 밤하늘 별자리를 보는 체험 프로그램 운영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반딧불이 친구들을 만날 수 있도록 하는 이 사업이 원할히 잘 진행될 수 있게 많은 응원 부탁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위의 글과 사진이 아닌 영상으로 복원 사업 진행 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세자트라숲 생태시설팀 인스타그램 링크를 남겨 드릴 테니 많이들 오셔서 감상해 주세요! :)


계정명: @tyrce_eco_engineer

바로가기: https://instagram.com/tyrce_eco_engineer

ad8fe21dc98eda20a861f25b2284cc7d_1752800224_2296.jpg